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에도 장마철만 된 침수되는 상습침수구역 여러 곳 있죠. <br> <br>거의 매년 피해보는 그 곳들 제대로 대비하고 있는지, 김태우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 2022년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로 물 바다가 됐던 서울 강남역 일대, 과연 올해는 괜찮은 건지 다시 가봤습니다. <br><br>2년 전, 물에 잠긴 차량들이 뒤얽혀 왕복 8차선 도로가 마비됐던 서초대로. <br> <br>지금은 큰 대로변 빗물받이가 깨끗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침수 피해 이후 관할 구정이 전담관리자까지 지정해 매주 관리하는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골목길로 들어가면 딴판입니다. <br> <br>담배 꽁초와 쓰레기가 한가득이고 거름망은 찢어진채 방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[인근 상인] <br>"구에서 청소를 다 했어요. 그래도 똑같아요. (행인들이) 쓰레기 버리고…" <br> <br>악취가 나고 보기 흉하단 이유로 빗물받이를 아예 막아버린 곳도 있습니다. <br> <br>[인근 주민] <br>"비만 오면 좀 걱정이 돼요. 앉아있으면 (빗물받이에서) 막 물 올라오는 소리가 나고요." <br><br>배수를 돕기 위한 빗물 도랑은 복잡한 지하 시설물을 피하느라 5년째 공사 중입니다.<br> <br>저지대 상습 침수지역에 만들려던 '대심도 빗물 터널'도 지지부진합니다. <br><br>서울의 보라매공원입니다.<br><br>이곳 지하에 도림천과 한강을 잇는 빗물터널이 지어질 계획이지만, 아직 착공도 하지 않았습니다.<br><br>지하 터널을 만들어 빗물을 저장했다가 하천으로 흘려보내는 시설로 사업비만 1조 원이 넘는데, 지난 4월에서야 공사를 맡을 건설사를 겨우 찾았습니다.<br> <br>[서울시 관계자] <br>"인건비라든가 건설 자재비 부분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에 많이 상승했는데, 그런 부분들이 당초에 좀 적게 반영되었다." <br> <br>이상 기후로 매년 더 큰 침수 피해가 반복될 수 있는 만큼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야한단 지적입니다. <br> <br>다시간다, 김태우입니다.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